반응형
예비 양육자까지 아우르는 ‘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’
서울시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추진 중인 **‘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’**가 2022년 ‘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’에서 한 단계 더 확장되어 전방위 저출생 대응 정책으로 진화했습니다.
기존이 양육자 중심 정책이었다면, 탄생응원 시즌2는 청년, 신혼부부, 난임부부 등 예비 양육자까지 폭넓게 포괄하며, 출산, 육아, 돌봄뿐 아니라 주거, 일·생활 균형 등 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👶 2년간 283만 명 혜택!
서울시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난임 시술비, 조부모 돌봄수당, 서울형 키즈카페 등 총 283만 명이 정책 혜택을 받았고, 양육자 친화 공간도 무려 2,700곳 이상 조성해 평균 **만족도 96.4%**라는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.
이러한 정책은 정부와 타 지자체로까지 확산되며 저출생 대응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.
📈 통계가 보여주는 변화의 조짐
- 출생아 수 (’24년 4~8월) 전년 동기 대비 6.6% 증가
- 혼인 건수는 같은 기간 23.5% 상승
- 5개월 연속 출생아 수 증가세는 12년 만에 처음
서울시는 이 반등의 기회를 정책 확대의 모멘텀으로 보고, 시즌2로 저출생 해소를 본격 가동합니다.
‘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’
3대 분야, 87개 사업 본격 추진!
- 👪 돌봄·주거
- ⚖️ 양육친화·일생활균형
- 💞 만남·출산
🏠 [1] 돌봄 · 주거
미리내집 – 신혼부부를 위한 장기전세주택
- ‘미리내집’은 신혼부부에게 안정된 주거 기반을 제공
- 2024년 3,500호 → 2026년부터 연 4,000호 공급 예정
- 자녀 수에 따라 거주 연장(최대 20년) 또는 시세 대비 최대 20% 저렴한 분양 기회 제공
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 (신규)
- 출산 후 2년간 월 30만 원, 총 720만 원 지원
- 대상: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, 중위소득 180% 이하
- 신청은 2025년 5월부터 ‘몽땅정보만능키’ 통해 접수 예정
서울형 키즈카페 확대
- 2026년까지 400개소 목표
- 서울시 축제나 행사에 팝업형 키즈카페 운영 병행
- 누적 이용자 수 47만 명 돌파
긴급·틈새 돌봄서비스 강화
- ‘서울형 시간제 전문 어린이집’, ‘아침돌봄 키움센터’ → 전 자치구 확대(25개)
⚖️ [2] 양육친화 · 일생활균형
중소기업 워라밸 포인트제
- 출산‧양육 친화 기업에 인센티브 제공
- 참여 기업: 289곳 중 177개 선정
- 신규 인센티브:
-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
- 동료응원수당
- 출산휴가 급여 보전
소상공인 출산‧양육 3종 세트
- ▸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
- ▸ 민간 아이돌봄 요금 2/3 지원
- ▸ 휴업 손실 지원 (임대료, 공공요금)
1인 자영업자‧프리랜서 출산휴가급여 지원 (신규)
항목 본인 출산 배우자 출산
지원대상 | 1인 자영업자, 프리랜서 등 고용보험 미적용자 | 출산 배우자를 둔 프리랜서/자영업자 |
지원금액 | 90만 원 | 80만 원 |
조건 | 서울 거주 + 출산자녀 주민등록 일치 |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, 소득활동 3개월 이상 등 |
탄생응원몰 – 육아용품 반값 할인몰
- 기저귀, 분유 등 필수 육아용품 최대 50% 할인
- 20% 할인 쿠폰 제공
서울엄마아빠택시 + 키즈오케이존
- 10만 원 택시이용권 지원
- 택시 사업자 2개사로 확대
- 키즈오케이존: 800개소로 확대
- 가족화장실: 700개소로 증설
💞 [3] 만남 · 출산
미혼남녀 만남기회 확대
- 연 4회 정기 개최 (예: 밸런타인데이, 청년의 날 등)
- 참여 연령 45세까지 확대
- 기업 협찬 통해 참가비 무료
서울마이웨딩 개선
- 공공예식장 협력업체 10곳으로 확대
- 지정업체 외 자유 선택 ‘자율형 모델’ 도입
신혼부부 결혼살림 비용 지원 (신규)
- 중위소득 150% 이하 + 혼인신고 1년 이내
- 최대 100만 원 결혼준비/혼례 비용 지원
- 2025년 10월 시행 예정
✅ 참고 정보
- 신청 및 안내: 몽땅정보만능키
- 문의: 다산콜센터 ☎️ 02-120
서울시는 ‘아이 키우기 힘든 도시’라는 인식을 바꾸고
누구나 출산과 육아에 용기 낼 수 있는 도시, 서울을 만들기 위해
앞으로도 아낌없는 지원을 계속할 예정입니다.
지금이 바로 저출생 극복의 골든타임!
서울시와 함께, 변화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. 🌱👶💗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 시내 구글 평점 높은 동물병원 TOP 10 (0) | 2025.03.31 |
---|---|
서울시, 전기이륜차 보급 대폭 확대… 4월 1일부터 보조금 신청 접수 시작 (0) | 2025.03.28 |
2025 서울청년문화패스(20만원 문화관람비 지원) (0) | 2025.03.21 |
서울 리(Re)테크 – 중장년 및 시니어를 위한 재무설계 & 경제 교육 프로그램 (0) | 2025.03.19 |
서울시 손목닥터9988 – 스마트 건강 관리 프로젝트 (0) | 2025.03.18 |